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성분 이미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Garcinia cambogia)
영양제기타혈중 지질 개선체중 감량 촉진지방 합성 억제식욕 억제
마지막 업데이트: 2025년 5월 14일

개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인도,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동남아시아에서 자생하는 작은 호박 모양의 초록색 과일입니다. 현지에서는 전통적으로 요리의 신맛을 내는 조미료로 사용되었으며,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식사 전에 섭취하는 전통적인 방식이 있었습니다. 현대에 들어서는 체중 감량을 위한 건강보조식품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과일 껍질에 함유된 하이드록시시트르산(HCA)이 주요 활성 성분으로 다양한 건강 효과를 가진다고 주장됩니다.

효능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의 가장 잘 알려진 효능은 체중 감량 촉진입니다. 주요 활성 성분인 HCA는 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ATP-시트레이트 라이아제 효소를 억제하여 탄수화물이 지방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또한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칼로리 섭취를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수치를 낮추는 효과와 혈당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여전히 제한적이며 연구 결과가 일관되지 않습니다.

부작용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는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여겨지지만, 일부 사용자에게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두통, 메스꺼움, 소화 장애, 설사와 같은 위장관 증상이 있습니다. 드물게 간 손상 사례가 보고되었으며, 특히 고용량으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간 효소 수치가 상승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일부 사람들에게서 불안, 현기증, 피로감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세로토닌 수준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어 세로토닌 증후군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가르시니아 캄보지아를 복용하기 전에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임산부, 수유부, 18세 미만의 청소년, 당뇨약을 복용 중인 사람, 간이나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 치매 환자, 정신과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은 섭취를 피해야 합니다. 특히 스타틴 계열 콜레스테롤 약물, 항우울제(특히 SSRI), 당뇨병 약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약물을 복용 중인 경우 의사와 상담 후 섭취해야 합니다. 또한 수술 전 최소 2주 전에는 복용을 중단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참고문헌

1. Onakpoya I, et al. The use of Garcinia extract (hydroxycitric acid) as a weight loss supplement: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J Obes. 2011;2011:509038. 2. Heymsfield SB, et al. Garcinia cambogia (hydroxycitric acid) as a potential antiobesity ag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AMA. 1998;280(18):1596-1600. 3. Lunsford KE, et al. Dangerous dietary supplements: Garcinia cambogia-associated hepatic failure requiring transplantation. World J Gastroenterol. 2016;22(45):10071-10076.

기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보충제는 일반적으로 500-1000mg의 용량으로 하루 3회 식사 전에 복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체중 감량 효과에 대한 과학적 증거는 여전히 일관되지 않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위약과 비교해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는 결과도 있습니다. 선택할 때는 HCA 함량이 50-60% 이상인 제품을 고르는 것이 좋으며, 품질 인증을 받은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관련 성분

※ 아유도감은 영양제, 식품, 화장품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본 정보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하시고, 특정 제품의 효능이나 의학적 조언을 대체할 수 없습니다. 성분 정보의 오류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Q&A 게시판에 문의해 주세요.

최종 업데이트: 2025년 5월 14일

성분 정보를 찾을 수 없습니다 - 아유도감